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밥맛도 좋고, 생산량 많은 우리나라 쌀을 알아보겠습니다.
1. SSP (Stakeholder Participatory Program)
1) 농업인, 소비자, 지자체, 유통업자 등 모두가 벼 품종 개발에 참여하는 현장 중심 연구
2) 외래 벼 재배면적 감소
11% → 4%
2. 이천 신품종 벼 특징
1) 해들 (조생종 : 추석 전 햅쌀 출하)
고시히카리 보다 맛있다는 평 : '20 완전대체
2) 알찬미 (중생종)
- 연간 724억원의 경제적 효과 : 쓰러짐에 강하고 병해에 강함
- 아끼바레 완전대체 ('22)
3. 강화, 김포 신품종 벼 특징
1) 나들미 (중생종)
수발아 내성과 병해에 강함
2) 한가득 (중생종)
도열병, 흰잎마름병, 줄무늬잎마름병 등 병해 강함
4. 신품종 종합 맞춤형 솔루션 (NICS)
1) 품종 대체 (농진청)
병충해 저항성, 내재해성, 밥맛 및 도정수율 우수
2) 재배법 ( 농진청, 지자체)
최적 재배법 표준화
3) 우량종자 공급 (농진청, 종자원, 농진원)
- 고순도 채종용 중자 (원원종) 공급
- 기본 식물 유지 및 채종포 합동 진단
4) 품종식별 (농진청)
- 유전체 기반 품종판별 마커 활용
- 종자 혼입 방지 및 순도 유지
5) 품질관리 (지자체)
- 쌀 품질 등급별 차동 수매제 시범 도입
- 기준 단백질 함량 이하일때 추가 지원
6) 사후관리 및 홍보 (농진청, 지자체)
- 종자 생산 단지 및 재배 단지 현장 애로사항 컨설팅
- SPP를 통한 우리 품종의 우수성 홍보
쓰러짐과 병에 강하고 밥맛도 우수하여 재배농가는 농사 짓기 편하고 농약과 비료로 지출하는 비용도 아낄 수 있다고 합니다.
감사합니다.
반응형